각종 대표제와 선거구제의 비교
(1) 소선거구-다수대표제
1) 1개의 선거구에서 다수 득표한 1명만이 당선
2) 장점 - 양당제를 통한 정국안정
3) 단점 - 사표발생
4) 비판
① Bias현상 - 표에서 이기고 의석에서 지는 현상
② 의원의 정책입안에서 지방적 편견을 가지기 쉽다.
③ 게리멘더링의 위험소지가 있다.
T) 지역구국회의원은 소선거구 상대 다수 대표제의 원칙에 따라 선출된다.
(2) 중선거구-다수대표제
1) 1개의 선거구에서 다수 득표한 순으로 2~5인이 당선
2) 제4공 때 채택한 적 있음 → 한 선거구제에서 2인씩 선출
3) 현행 공선법 - 자치구,시,군의원선거에서 중선거구제 채택 = 2인이상 4인이하 선출
(3) 대선거구-다수대표제
1) 1개의 선거구에서 다수 득표한 순으로 6인 이상 당선
2) 단점 - 인물선거인 지역구 선거가 정당투표로 변질
(4) 비례대표제
1) 소수의 다수를 불문하고 각 정치세력의 득표율에 따라 의석을 배분
2) 장점
① 투표의 성과가치평등실현
② 소수의 의회진출기회 부여
③ 소수자보호의 민주주의정신에 부합
④ 정당정치의 발전
3) 단점
① 군소정당의 난립 - 이에 대한 대책으로 봉쇄조항 도입
② 정당내부가 비민주적으로 운영될 경우 비례대표제는 오히려 정당의 비민주성을 심화시키는 계기
③ 직접선거에 모순될 수 있다.
(5) 혼합투표제
1) 비례대표제 + 다수대표제
2) 독일식의 혼합투표제
① 총의석배분방식, 혼합식
② 1인 2표 - 정당득표율에 따라 각 정당의 전체의석수를 먼저 배분⋅확정 → 지역구 의석으로 조정
3) 일본식의 혼합투표제
① 분리배분방식, 병립식
② 1인 2표 - 비례대표와 지역구 의석수를 미리 정해 놓고 별개의 투표를 진행
'※ Soy 법률 ※ > Soy 헌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비밀선거의 원칙 (0) | 2008.08.26 |
---|---|
자유선거의 원칙 (0) | 2008.08.26 |
선거운동 (0) | 2008.08.26 |
선거비용과 선거공영제 (0) | 2008.08.26 |
당선인의 결정 (0) | 2008.08.26 |
재선거, 보궐선거, 연기된 선거 (0) | 2008.08.26 |
우리의 비례대표국회의원 선거제도 (0) | 2008.08.26 |
공무원의 종류 (0) | 2008.08.26 |
공무원의 헌법상 지위 (0) | 2008.08.26 |
직업공무원제도 (0) | 2008.08.26 |
댓글